물가는 치솟는데 서민들의 지갑은 날로 얄팍해지고 있습니다. 그럴 때일수록 해마다 평균 연봉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데요. 2025년 직장인들의 평균연봉을 연령대별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인 평균연봉에 대해
직장인 연령별로 평균 연봉을 살펴보게 되면 나이가 높아질수록 연봉이 가파르게 올라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20대부터 50대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의미합니다.
또한 연령대뿐만 아니라 같은 연령대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도 분명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직장인들의 연별대별 20대, 30대, 40대, 50대 평균 소득을 비교해 보고, 평균 연봉과 중위소득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 직장인 평균연봉
20대 평균 연봉
- 20대 초반 직장인 평균연봉 (20세~24세) : 2940만원
- 20대 후반 직장인 평균연봉 (25세~29세) : 3670만원
20대는 대한민국 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대학 생활과 군 생활, 휴학 기간을 보내기 때문에 보통 직장인으로서 경제 활동을 하는 건 20대 후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0대 초반인 20~24세의 평균 연봉과 20대 후반인 25~29세의 연봉 차이가 확연히 두드러지는 편입니다.
30대 평균 연봉
- 30대 초반 직장인 평균연봉 (30세~34세) : 4450만원
- 30대 후반 직장인 평균연봉 (35세~39세) : 5250만원
30대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졸업 후 본격적으로 경제 활동에 뛰어든 시기입니다. 신입 사원으로 입사를 하거나 진급을 통해 대리급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또한 후반으로 들어서면 과장에 올라 회사 실무의 중요한 허리를 맡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대는 평균 연봉의 상승률이 훌쩍 뛰는 시기로 실수령액의 앞자리가 바뀌는 시기입니다.
40대 평균 연봉
- 40대 초반 직장인 평균연봉 (40세~44세) : 5720만원
- 40대 후반 직장인 평균연봉 (45세~49세) : 5970만원
40대 직장인들은 인생의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어 결혼과 출산, 육아를 겪는 시기를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봉 상승이라는 달콤한 꿀이 있지만 그와 반대로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에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녀의 교육을 위해 학군지를 옮겨가고, 학원이나 과외의 수가 늘어나면서 두드러지게 지출폭이 늘어나게 되어 허리띠를 졸라맨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혼을 선택하는 비율도 크게 증가함에 따라 또 다른 형태의 가정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50대 평균 연봉
- 50대 초반 직장인 평균연봉 (50세~54세) : 6000만원
- 50대 후반 직장인 평균연봉 (55세~59세) : 5590만원
50대 직장인은 회사 내에서 높은 직책에서 실무를 잡고 있으며, 임원급에 올라 중책을 맡는 시기입니다. 이런 면에서 평균 연봉은 나날이 높아져야만 하겠지만 50대 후반에 들어서면 퇴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기 때문에 오히려 평균 연봉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본인들의 지출보다는 자녀들을 위한 지출이 여전히 많은 시기이기 때문에 떨어지는 평균 연봉에 대비하여 수입과 지출, 투자 등에 대한 관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균 연봉의 함정 (중위소득)
우리나라에서 연봉을 따져볼 때 '평균 연봉'을 보게 되면 고소득을 올리는 전문직 종사자와 대기업 근로자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평균에 해당하는 보통 사람들의 연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중간 소득이라고 볼 수 있는 '중위소득'을 보는 것이 맞습니다.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위해 알아보는 평균 연봉이니만큼 상위 1%에 해당하는 직장인들을 제외한 수치를 알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40대 유튜브 주제 지금 시작하면 성공할 콘텐츠 TOP 5
유튜브를 시작하는데 적당한 시기는 없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는게 제일 빠른 유튜브에서 40대가 성공할만한 콘텐츠 5개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 40대 유튜브 보러가기 유튜브 40대도 늦
4.nadanadago.com